nabo.go.kr |
나라살림 지킴이․나라정책 길잡이 |
||||
|
|
|
|||
![]() |
보도자료 |
![]() |
|||
일시 |
2013. 5. 15.(수) 배포 시부터 |
담당 |
사업평가국 산업사업평가과 과장 최미희/ 평가관 조윤희, 788-4676 |
||
|
|
||||
|
|||||
우수농식품구매지원사업, 한식세계화사업 등 농식품 수출지원사업의 성과 미흡 |
❑ 국회예산정책처(처장 국경복)는 「농식품 수출지원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과제」 보고서에서 농식품 수출지원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과제를 제시함. ❑ 농식품 수출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사업인 우수농식품구매지원사업, 농축산물판매촉진사업, 한식세계화사업 등의 경우, 사업성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. ◦ 2012회계연도에 농식품 수출지원사업비 총 6,220억원의 약 60%를 차지하는 우수농식품구매지원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, 정부는 수출지원성과가 저조한 업체에 지속적으로 우수농식품구매지원자금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남. - 웅진식품, 동원F&B, 샘표식품, 일화 등 대규모 기업은 최근 5년간 수출액이 지원액에 비해 저조함에도 불구하고 우수농식품구매지원자금을 연속 지원받음. ◦ 직접지원 방식의 수출물류비지원사업은 DDA협상에 따라 2021년 이후 지원이 폐지되는데, 이에 대한 정부의 중장기적 준비는 철저하지 못함. - 정부는 2012년도에 농축산물판매촉진사업비 총 410억원의 75%를 직접지원 방식의 수출물류비에 지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, 간접지원 방식의 인프라 강화사업비 62억원을 수출물류비로 변경하여 집행함. ❑ 정부는 농식품 수출지원사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사업계획 및 성과관리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할 것임. ◦ 정부는 중소 수출업체 및 농가 소득 지지효과가 큰 품목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, 직접지원 사업을 축소하는 대신 간접지원 사업으로 재원을 재배분할 필요가 있음. |
- 1 -
1. 농식품 수출지원사업 현황
농식품 수출지원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수립하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이 직․간접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음.
◦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우수농식품구매지원사업, 농축산물판매촉진사업, 해외시장개척지원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음.
- 우수농식품구매지원사업은 융자사업이고, 농축산물판매촉진사업, 해외시장개척사업 및 한식세계화사업은 보조사업임.
사업명 |
2012 (A) |
2013 (B) |
증감 (B-A) |
주요사업목적 |
지원 형태 |
우수농수산식품 |
499,200 |
521,052 |
21,852 |
수출을 통한 농어가 소득 증대 생산과 연계된 수출조직 육성 |
융자 |
농축산물 판매촉진사업 |
40,972 |
41,150 |
178 |
수출물류비지원 및 |
보조 |
해외시장개척사업 |
59,901 |
99,449 |
39,548 |
수출대상국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수출관련 기관 간 공조 활성화 |
|
한식세계화사업 |
21,949 |
19,150 |
-2,799 |
한식우수성 홍보로 농식품 수출 도모(브랜드 육성) |
|
합 계 |
622,022 |
680,801 |
58,779 |
|
자료: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제출자료를 토대로 국회예산정책처가 재작성, 2013. 4.
2. 농식품 수출지원사업의 문제점
우수농식품구매지원사업의 경우 우수농식품구매지원자금이 최근 5년간 수출실적이 저조한 대규모 기업에 집중 지원됨에 따라, 수출실적이 좋은 중소기업은 동 자금의 지원기회를 제한받고 있음.
◦ 2012년도에 100억원 이상 자금을 지원받은 웅진식품, 동원F&B, 샘표식품, 일화는 최근 5년간 수출액이 지원액에 비해 2회 이상 낮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자금을 지원받음.
- 2 -
규모 |
업체 |
2008 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|||||
수출액 |
지원액 |
수출액 |
지원액 |
수출액 |
지원액 |
수출액 |
지원액 |
수출액 |
지원액 |
||
대기업 |
웅진식품 |
8,827 |
7,000 |
13,710 |
10,000 |
5,805 |
10,000 |
10,716 |
10,000 |
9,455 |
10,000 |
중견기업 |
동원F&B |
3,991 |
4,133 |
7,456 |
4,416 |
3,833 |
4,416 |
6,467 |
4,416 |
7,951 |
4,416 |
〃 |
샘표식품 |
10,117 |
9,389 |
10,142 |
11,389 |
9,952 |
11,389 |
13,315 |
14,476 |
20,152 |
14,476 |
〃 |
일화 |
13,770 |
17,147 |
14,075 |
13,000 |
8,792 |
13,000 |
13,342 |
13,000 |
11,125 |
13,000 |
중소기업 |
머쉬하트 |
660 |
1,000 |
774 |
1,000 |
127 |
1,000 |
1 |
186 |
― |
― |
〃 |
몽고식품 |
1,476 |
2,000 |
1,283 |
1,831 |
948 |
1,780 |
1,161 |
899 |
1,282 |
1,352 |
〃 |
만성유통 |
― |
― |
― |
― |
― |
― |
165 |
1,000 |
316 |
127 |
〃 |
밤뜨래 |
― |
― |
386 |
1,000 |
150 |
397 |
69 |
131 |
82 |
50 |
〃 |
오복식품 |
1,603 |
1,677 |
1,585 |
1,350 |
1,227 |
2,050 |
1,055 |
2,050 |
1,631 |
2,050 |
〃 |
이왕상사 |
1,945 |
2,008 |
1,738 |
1,700 |
936 |
1,700 |
732 |
1,308 |
975 |
1,421 |
〃 |
일해 |
2,447 |
2,608 |
2,333 |
3,021 |
1,056 |
2,500 |
1,060 |
2,032 |
2,313 |
2,032 |
〃 |
한도상사 |
― |
― |
564 |
1,000 |
890 |
753 |
387 |
950 |
226 |
780 |
〃 |
한성식품 |
445 |
1,000 |
354 |
727 |
344 |
490 |
401 |
299 |
658 |
297 |
〃 |
푸드웰 (대구) |
13,797 |
17,257 |
16,839 |
19,652 |
16,529 |
19,652 |
15,956 |
19,652 |
16,321 |
19,652 |
주: 수출실적은 한국은행 고시 연평균 환율을 적용하여 원화로 환산함. 음영표시는 지원액대비 수출액이 100% 미만인 경우
자료: 농림축산식품부 제출자료를 토대로 국회예산정책처 재작성, 2013. 4.
◦ 우수농식품구매지원사업 시행계획에서 “일부 업체에 대한 편중지원 방지”를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, 정부는 우수농식품구매지원자금을 대기업에 편중지원하고 일부 업체에 연속하여 지원함.
- 정부는 2012년도에 농식품 수출업체 2,517개 중 7.5%인 190개 업체에 우수농식품구매지원자금 3,342억원을 지원하였으며, 15개 대기업․중견기업에 지원금의 36%인 1,205억원을 편중 지원하였음.
- 5년간 자금을 지원받은 대기업은 평균 3개인데 이중 2개 기업이 연속 지원받았고, 중견기업은 평균 11개인데 이중 9개가 연속 지원을 받았으며, 중소기업은 161개 중 93개 업체가 연속하여 지원받음.
◦ 정부는 우수농식품구매지원자금과 수출물류비를 일부업체에 동시․편중 지원함.
- 3 -
- 대상FNF(주), ㈜NH무역, CJ제일제당(주), (주)농산 등은 우수농식품구매지원자금과 수출물류비를 3년 연속하여 동시 지원받음.
- 정부는 2012년도에 수출물류비 310억원을 총 323개 업체에 지원하였는데, 그 중 8.4%인 26억원을 대상FNF(주)과 ㈜NH무역 2개 업체에 편중 지원함.
- 수출물류비 지원의 경우 DDA 농업 협상에 따라 지원액을 매년 축소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, 우수농식품구매지원자금과 수출물류비의 동시지원은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.
업 체 명 |
우수농식품구매지원자금 |
수출물류비 |
||||
2010 |
2011 |
2012 |
2010 |
2011 |
2012 |
|
(주)푸드웰 |
19,652 |
19,652 |
19,652 |
11 |
14 |
10 |
대상FNF(주) |
19,316 |
19,316 |
19,316 |
1,231 |
818 |
1,286 |
(주)일화 |
13,000 |
13,000 |
13,000 |
6 |
7 |
7 |
(주)NH무역 |
12,000 |
12,000 |
12,000 |
1,711 |
1,573 |
1.292 |
씨제이제일제당(주) |
10,000 |
10,000 |
10,000 |
90 |
40 |
50 |
(농)(주)농산 |
9,242 |
9,668 |
9,668 |
866 |
517 |
533 |
(주)알엔지 |
8,000 |
8,-000 |
8,000 |
140 |
71 |
26 |
(농)그린합명회사 |
3,000 |
4,154 |
7,654 |
570 |
554 |
615 |
(주)한국인삼공사 |
7,647 |
7,647 |
7,647 |
205 |
323 |
227 |
(주)삼진글로벌넷 |
7,624 |
7,624 |
7,624 |
117 |
230 |
238 |
(주)태봉 |
7,500 |
7,500 |
7,500 |
460 |
438 |
238 |
(농)(주)모아 |
5,500 |
5,250 |
7,250 |
262 |
249 |
199 |
희창물산(주) |
6,193 |
6,193 |
7,193 |
237 |
143 |
87 |
(농)대흥농산(주) |
2,750 |
2750 |
6,500 |
― |
120 |
111 |
한성푸드(영) |
3,000 |
4,000 |
6,000 |
497 |
530 |
550 |
(주)오션그린 |
5,570 |
5,570 |
5,570 |
475 |
393 |
457 |
주: 우수농식품구매자금은 연 3~4%의 금리로 지원하는 융자이고, 수출물류비는 25만달러 이상 수출한 업체에 대한 보조금임. 자료: 한국농수산식품공사 제출자료를 토대로 국회예산정책처 재작성, 2013. 4. |
농축산물판매촉진사업 중 수출물류비 지원사업의 성과 미흡
◦ 2012년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실적은 2011년과 비교하여 20% 증가했으나, 수출물류비를 지원받은 업체의 수출실적은 7.7% 증가하는 데 그침.
- 4 -
|
국가 전체 |
지원 업체 |
||||
2011 |
2012 |
증감률 |
2011 |
2012 |
증감률 |
|
수출합계 |
1,096.2 |
1,316.9 |
20.1 |
750.0 |
807.4 |
7.7 |
⁝ |
⁝ |
⁝ |
⁝ |
⁝ |
⁝ |
⁝ |
화훼류 |
90.6 |
84.0 |
-7.3 |
113.8 |
103.5 |
-9.0 |
김치류 |
104.6 |
106.6 |
1.9 |
109.9 |
105.9 |
-3.7 |
인삼류 |
189.3 |
150.8 |
-20.3 |
129.2 |
91.1 |
-29.5 |
주: 국가 전체는 관세청 수출신고일을 기준으로 하고, 지원 업체는 실제 선적을 확인한 후 수출물류비를 지원함에 따른 실적치임. 수출 증감률은 상대비교가 가능하나 수출실적치의 상대비교는 주의를 요함.
자료: 농림축산식품부 제출자료, 2013. 4.
한식세계화사업은 유사‧중복에 따른 사업의 비효율 초래
◦ 한식세계화사업은 추진기관의 다원화로 인해 기능이 중복될 우려가 있음.
- 한식세계화추진단이 정책 자문기능을 담당하고, 한식재단(재단),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(aT), 농림수산식품기획평가원(농기평)이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.
사 업 명 |
2012 |
2013 |
|||||||||
지자체 |
aT |
재단 |
농기평 |
계 |
지자체 |
aT |
재단 |
농기평 |
계 |
||
한식세계화 |
600 |
8,499 |
8,350 |
4,500 |
21,949 |
300 |
4,900 |
10,950 |
3,000 |
19,150 |
|
|
인프라 구축 |
― |
1,110 |
2,050 |
2,000 |
5,160 |
|
|
3,100 |
2,000 |
5,100 |
|
전문인력양성 |
― |
3,790 |
900 |
― |
4,690 |
|
1,700 |
2,550 |
― |
4,250 |
|
경쟁력 강화 |
― |
1,500 |
2,000 |
2,500 |
6,000 |
|
1,000 |
2,000 |
1,000 |
4,000 |
|
국내외 홍보 |
600 |
2,099 |
3,400 |
― |
6,099 |
300 |
2,200 |
3,300 |
― |
5,800 |
자료: 농림축산식품부 제출자료, 2013. 4.
- 5 -
3. 개선과제
우수농식품구매지원사업은 수출실적이 우수하고 농가소득 지지효과가 크며, 수출 유망 품목을 주된 수출대상으로 하는 업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자금지원 및 성과관리를 강화할 필요
◦ 정부는 수출자생력이 갖춰진 대규모 수출업체에 대한 지원을 축소하고, 수출경쟁력은 있지만 자금력이 약한 중소규모업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함.
- 정부는 업체별 총 배정한도액을 단기적으로는 15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
◦ 정부는 농식품 수출을 통해 농가소득을 확대한다는 사업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출업체 선정 시 국산 농식품 수출 실적을 반영할 수 있는 인센티브제를 도입하고, 대출요건으로 수출의무 비율뿐 아니라 국산원료의 구매의무 비율도 높이는 방안 등을 강구해야 할 것임.
- 국산원료의 구매비율이 50% 이상인 업체에 대하여 자금을 우선 지원하는 것이 필요
- 이에 대한 관리를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각 지역별 지사를 통해 사후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
현 행 |
개 정 |
2. 지원업체 선정 <신 설> 3. 선정업체 자금배정 일부업체에 대한 편중지원 방지 및 중소 수출업체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업체별 배정한도액 및 최저한도액을 설정하여 운용할 수 있다. ◦ 업체별 총 배정한도는 150억원 이내로 한다. <신 설> |
2. 지원업체 선정 ◦ 국산원료 구매비율이 50%이상인 업체는 우선 지원한다. 이 경우 각 지역별 지사는 이에 대한 사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. 3. 선정업체 자금배정 일부업체에 대한 편중지원 방지 및 중소 수출업체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업체별 배정한도액, 최저한도액을 설정하여 운용할 수 있다. ◦ 업체별 총 배정한도는 100억원 이내로 한다. 업체별 사업실적 및 품목 등의 특성에 따라 지원조건을 달리한다. |
- 6 -
수출물류비지원 폐지에 대비한 중장기적 사업전환 방안 구체화 필요
◦ 향후 DDA협상 여부에 따라 2021년 이후의 수출물류비지원 축소․폐지에 대비하여 수출 인프라 확충 등 간접지원 확대로의 정책적 전환이 필요함.
◦ 수출물류비를 지원받은 품목 중 농식품 수출실적에 비해 업체의 실적이 저조한 품목에 대한 지원조건을 강화하는 등 구체적인 사업개편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함.
- 수출물류비를 지원받은 품목 중 화훼류, 김치류, 인삼류는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남.
주: 증감률은 2011년도 대비 2012년도 수출실적 증가를 나타냄.
자료: 농림축산식품부 제출자료, 2013. 2.
한식세계화사업 관련 총체적인 사업계획 재검토 필요
◦ 사업개시 1~2년만에 사업이 중단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한식세계화의 장기적인 마스터플랜 하에, 사업타당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 후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.
◦ 한식재단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,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등에서 각각 추진하고 있는 한식세계화 관련 사업에 대한 통합추진이 필요함.
※ 더 자세한 내용은 국회예산정책처 홈페이지(www.nabo.go.kr)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- 7 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