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abo.go.kr |
나라살림 지킴이․나라정책 길잡이 |
|||||
|
|
|
||||
![]() |
보도자료 |
![]() |
||||
일시 |
2009.11.2(월) 06:00 이후 취급하여 주십시오. |
담당 |
경제분석실 거시경제분석팀 신후식 팀장(788-3775) |
|||
|
|
|||||
|
||||||
「NABO 중기경제전망 2009~2013년」보고서 발간 |
❑ 국회예산정책처(처장 신해룡)는 「NABO 중기경제전망 2009 ~ 2013년」 보고서에서, 국내경제는 2010년 3.8%, 2011년 3.9%, 2012년 4.2%, 2013년 4.5%로 완만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◦ 이는 세계적인 경기부양정책으로 급락세를 보였던 세계경제와 세계교역량이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기 때문임 ◦ 한편 정부의 실질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010년 중 4.0%, 2011년부터 2013년까지 5%로 2010~2013년 중 국회예산정책처 전망치보다 연평균 0.65%p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❑ 경상GDP성장률은 2010년 중 6.4%, 2011년 중 6.1%, 2012년 중 6.5%, 2013년 중 6.9%에 달할 것으로 전망 ◦ 한편 정부의 경상GDP성장률 전망치는 2010년 중 6.6%, 2011년부터 2013년 중 7.6%로 2010~2013년 중 국회예산정책처 전망치보다 연평균 0.88%p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❑ 2008년 19,106달러에 달했던 1인당GDP는 완만한 소득증가로 2013년 25,835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|
- 1 -
글로벌 금융위기기간(2008년부터 2009년)을 제외한 2010~2013년의 국내경제성장률은 연평균 4.1%로 2004~2007년(글로벌 금융위기 전)의 연평균 경제성장률(4.7%)보다 0.6%p 낮아질 것으로 예상
◦ 이는 순수출의 성장기여도(2004~2007년 중 1.1%p → 2009~2013년 중 0.5%p)가 둔화되는 가운데 내수의 성장기여도(2004~2007년 중 3.7%p → 2010~2013년 중 3.4%p)도 낮은 수준을 지속할 전망이기 때문임
잠재성장률은 2010~2013년 중 연평균 3.7%에 이를 것으로 전망
◦ 글로벌 경제위기의 영향으로 2009년 잠재성장률은 3.5%로 2008년(3.9%)에 비해 0.4%p 하락하고 2010년부터 완만하게 상승하여 2012년과 2013년에는 각각 3.8%가 될 것으로 분석됨
◦ 2010년 이후 잠재성장률 개선에도 불구하고 위기 후 잠재성장률은 위기 전보다 0.5%p 낮아질 것으로 보임
◦ 이는 경제위기의 여파로 2010~2013년 자본스톡 증가율이 연평균 4.1%로 2003~2007년(연평균 5.4%)에 비해 1.3%p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임
◦ 정부는「2009~2013년 국가재정운용계획」에서 잠재성장률이 2010년 4% 내외, 2011~2013년 5% 내외(2010~2013년 연평균 4.7% 내외)에 달할 것으로 전망
부문별 전망을 살펴보면, 민간소비는 2010~2013년 중 연평균 증가율이 2.9%로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4~2007년의 연평균(3.7%)보다 0.8%p 하락할 전망
◦ 이는 낮은 가처분소득 증가율,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금융비용부담 증가 때문임
건설투자는 2010∼2013년 중 연평균 2.4% 증가하여 2004~2007년 중 연평균(0.1%)보다 2.3%p 높아질 전망
◦ 녹색뉴딜 사업 등으로 SOC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보는 것이 주요 요인임
설비투자는 2010~2013년 중 연평균 9.2% 증가해 위기 이전 4년 (2004~
- 2 -
2007년) 평균 6.7%에 비해 2.5%p 확대될 것으로 보임
◦ 이는 경기회복기대 및 환율하락에 따른 자본재 상대가격 하락에 기인
상품수출은 2010∼2013년 기간 중 증가세가 완만히 둔화되어 연평균 12.5%(국제수지 기준) 증가하고, 상품수입은 연평균 14.6%(국제수지 기준) 증가할 전망
◦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더라도 위기 후(2010~2013) 증가율(12.5%)은 위기 전 (2004~2007년)보다(17.9%) 낮아질 전망
경상수지는 완만한 교역량 개선으로 2010∼2013년 기간 중 연평균 114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여 2004∼2007년의 연평균 136억 달러 흑자보다 흑자 폭이 감소할 전망
◦ 2010∼2013년까지 상품수지는 2004∼2007년의 연평균 316억 달러 흑자에서 연평균 406억 달러로 흑자 폭이 확대되고, 서비스수지를 비롯한 기타수지(서비스, 소득, 이전수지)는 2009∼2013년 기간 중 연평균 292억 달러의 적자를 나타낼 전망
취업자는 고용 없는 성장 구조 정착 등으로 2010~2013년 중 연평균 0.9% 증가해 2004~2007년 중 연평균 증가율 1.4%(32.4만명)보다 0.5%p(11만 여명) 감소하고, 동기간 실업률은 3.4%로 0.1%p 하락할 전망
소비자물가는 2010∼2013년 기간 중 연평균 2.6% 상승하여 이전 2004∼2007년 2.8%에 비해 낮아질 전망
◦ 금융위기의 충격으로 2009∼2013년 중에 GDP갭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며 물가압력도 하락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임
GDP디플레이터는 순수출 디플레이터 상승 등으로 2010∼2013년 기간 중 연평균 2.2% 상승하여 이전 2004∼2007년 1.4%에 비해 높아질 전망
- 3 -
[주요 거시경제지표의 전망]
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경제성장률(%) |
-1.0 |
3.8 |
3.9 |
4.2 |
4.5 |
민간소비(%) |
-1.5 |
2.6 |
2.6 |
3.0 |
3.2 |
건설투자(%) |
3.0 |
2.7 |
2.9 |
2.0 |
1.8 |
설비투자(%) |
-14.1 |
9.8 |
7.5 |
9.0 |
10.5 |
총수출(%) |
-1.9 |
7.0 |
6.6 |
9.0 |
9.3 |
총수입(%) |
-7.1 |
8.8 |
6.1 |
8.2 |
8.7 |
경상수지(억달러) |
340 |
147 |
108 |
112 |
91 |
상품수지(억달러) |
502 |
399 |
384 |
421 |
419 |
상품수출(%) |
-14.7 |
14.3 |
10.6 |
12.4 |
12.8 |
상품수입(%) |
-25.2 |
19.8 |
12.1 |
12.7 |
14.0 |
소비자물가(%) |
2.8 |
2.5 |
2.5 |
2.7 |
2.8 |
실업률(%) 취업자수 증감(%) |
3.7 -0.6 |
3.5 0.7 |
3.3 0.8 |
3.4 0.9 |
3.3 1.0 |
금리(국고채 3년, %, 평균) |
4.1 |
4.8 |
4.8 |
4.9 |
5.0 |
환율(원/달러, 평균) |
1,286 |
1,186 |
1,128 |
1,061 |
1,055 |
주: 1) 실업률은 구직기간 4주 기준임. 2) 상품수출입은 국제수지기준. 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, 통계청. |
※ 첨부: 「NABO 중기경제전망 2009~2013년」 보고서 1부
또는 국회예산정책처 홈페이지(http://www.nabo.go.kr) 참조
- 4 -
[별첨:요약]
NABO 중기경제전망 2009~2013년
1. 경제성장률 전망
❑ 2010년 중 3.8% 성장이 예상되는 국내경제는 2011년 중 3.9%, 2012년 중 4.2%, 2013년 중 4.5%의 완만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됨
◦ 한편 정부는 2010년 중 실질경제성장률이 4.0%, 2011년부터 2013년까지 5%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함
◦ 2010년부터 2013년 중 정부의 실질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국회예산정책처 전망치보다 연평균 0.65%p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
[국회예산정책처와 정부와의 전망 비교]
(단위: %, %p) |
||||||
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|
실질성장률 |
국회예산처(A) |
-1.0 |
3.8 |
3.9 |
4.2 |
4.5 |
정부(B) |
-1.5 |
4.0 |
5.0 |
5.0 |
5.0 |
|
격차(B-A) |
-0.5 |
0.2 |
1.1 |
0.8 |
0.5 |
|
경상성장률 |
국회예산처(A) |
1.9 |
6.4 |
6.1 |
6.5 |
6.9 |
정부(B) |
1.1 |
6.6 |
7.6 |
7.6 |
7.6 |
|
격차(B-A) |
-0.8 |
0.2 |
1.5 |
1.1 |
0.7 |
|
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기획재정부. |
❑ 경상GDP성장률은 2010년 중 6.4% 2011년 중 6.1%, 2012년 중 6.5%, 2013년 중 6.9%로 연평균 6.5%를 나타낼 전망
◦ 한편 2010년 정부의 경상GDP성장률은 2010년 중 6.6%, 2011년부터 2013년 중 7.6%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
◦ 2010년 이후 정부의 경상GDP성장률 전망치는 국회예산정책처 전망치보다 연평균 0.88%p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
❑ 완만한 소득증가로 2008년 19,106달러에 달했던 1인당GDP는 2013년 25,835달러(35.2% 증가)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
[경상GDP 및 1인당 GDP 전망]
|
경상GDP |
1인당GDP (달러) |
평균환율 (원) |
인구 (천명)1) |
|
조원 |
10억달러 |
||||
2000 |
603 |
534 |
11,350 |
1,131 |
47,008 |
2001 |
651 |
505 |
10,656 |
1,291 |
47,357 |
2002 |
721 |
576 |
12,092 |
1,251 |
47,622 |
2003 |
767 |
644 |
13,448 |
1,192 |
47,859 |
2004 |
827 |
722 |
15,037 |
1,145 |
48,039 |
2005 |
865 |
845 |
17,548 |
1,024 |
48,138 |
2006 |
909 |
951 |
19,692 |
956 |
48,297 |
2007 |
975 |
1,049 |
21,655 |
929 |
48,456 |
2008 |
1,024 |
929 |
19,106 |
1,103 |
48,607 |
2009 |
1,043 |
811 |
16,642 |
1,286 |
48,747 |
2010 |
1,110 |
936 |
19,149 |
1,186 |
48,875 |
2011 |
1,178 |
1,045 |
21,322 |
1,128 |
48,989 |
2012 |
1,254 |
1,181 |
24,067 |
1,061 |
49,083 |
2013 |
1,340 |
1,270 |
25,835 |
1,055 |
49,163 |
주: 1) 인구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추계인구를 이용하였음. 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, 통계청. |
❑ 글로벌 금융위기기간(2008년부터 2009년)을 제외한 2010년~2013년의 국내경제성장률은 연평균 4.1%로 2004년~2007년(글로벌 금융위기 전)의 연평균 경제성장률(4.7%)보다 0.6%p 낮아질 것으로 예상됨
[국내경제성장률 전망]
주: 연평균성장률.
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.
❑ 2010년~2013년 중 국내경제성장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전보다 둔화될 것으로 보는 이유는 순수출의 성장기여도(2004~2007년 중 1.1%p → 2009~2013년 중 0.5%p)가 둔화되는 가운데 내수의 성장기여도(2004~2007년 중 3.7%p → 2010~2013년 중 3.4%p)도 낮은 수준을 지속할 전망
◦ 순수출의 성장기여도가 낮아지는 이유는 수출환경이 개선되더라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보다는 상대적으로 악화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임
◦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수출은 대개도국 수출의존도(개도국의 내수확대 정책 예상)가 더욱 증가하는 반면에 대선진국 수출의존도(소비
회복지연)는 낮아질 것으로 보임
[우리나라의 수출환경 전망]
자료: 국회예산정책처.
◦ 한편 내수의 성장기여도가 낮아지는 이유는 가계대출 확대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, 고용 없는 성장, 고령화 진전, 출구전략 본격화로 인한 금리인상 등이 예상되기 때문임
[내수 및 수출증가율 전망]
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.
❑ 2009년 2/4분기 이후 반등세를 보인 국내경제성장률은 완만한 상승세를 2010년 이후에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됨
◦ 이는 첫째, 2009년 중 급반등세를 보인 세계경제와 교역량이 2010년 이후 매우 완만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임
◦ 둘째, 과거 금융위기 이후 OECD국가의 경기지표 움직임을 보면 위기 이후 주요 경제 지표들의 변동 폭이 축소되면서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는 점(특히 IT버블 붕괴 이후) 때문임
◦ 셋째, 물가상승 압력이 크지 않아 신축적인 통화정책이 어느 정도 유지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임
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경제성장률(%) |
-1.0 |
3.8 |
3.9 |
4.2 |
4.5 |
민간소비(%) |
-1.5 |
2.6 |
2.6 |
3.0 |
3.2 |
건설투자(%) |
3.0 |
2.7 |
2.9 |
2.0 |
1.8 |
설비투자(%) |
-14.1 |
9.8 |
7.5 |
9.0 |
10.5 |
총수출(%) |
-1.9 |
7.0 |
6.6 |
9.0 |
9.3 |
총수입(%) |
-7.1 |
8.8 |
6.1 |
8.2 |
8.7 |
경상수지(억달러) |
340 |
147 |
108 |
112 |
91 |
상품수지(억달러) |
502 |
399 |
384 |
421 |
419 |
상품수출(%) |
-14.7 |
14.3 |
10.6 |
12.4 |
12.8 |
상품수입(%) |
-25.2 |
19.8 |
12.1 |
12.7 |
14.0 |
소비자물가(%) |
2.8 |
2.5 |
2.5 |
2.7 |
2.8 |
실업률(%) 취업자수 증감(%) |
3.7 -0.6 |
3.5 0.7 |
3.3 0.8 |
3.4 0.9 |
3.3 1.0 |
금리(국고채 3년, %, 평균) |
4.1 |
4.8 |
4.8 |
4.9 |
5.0 |
환율(원/달러, 평균) |
1,286 |
1,186 |
1,128 |
1,061 |
1,055 |
주: 1) 실업률은 구직기간 4주 기준임. 2) 상품수출입은 국제수지기준. 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, 통계청. |
[기간별 거시경제지표 전망 비교]
|
위기전4년 (04~07) |
위기후4년 (10~13) |
위기전5년 (04~08) |
위기후5년 (09~13) |
경제성장률(%) |
4.7 |
4.1 |
4.2 |
3.1 |
민간소비(%) |
3.7 |
2.9 |
3.1 |
2.0 |
건설투자(%) |
0.7 |
2.4 |
0.1 |
2.5 |
설비투자(%) |
6.7 |
9.2 |
4.9 |
4.5 |
총수출(%) |
12.9 |
8.0 |
11.4 |
6.0 |
총수입(%) |
10.6 |
8.0 |
9.2 |
5.0 |
경상수지(억달러) |
136.0 |
114.4 |
96.0 |
159.5 |
상품수지(억달러) |
316 |
406 |
265 |
425 |
상품수출(%) |
17.9 |
12.5 |
17.2 |
7.1 |
상품수입(%) |
19.0 |
14.6 |
19.6 |
6.7 |
소비자물가(%) |
2.8 |
2.6 |
3.2 |
2.7 |
실업률(%) 취업자수 증감(%) |
3.5 1.4 |
3.4 0.9 |
3.5 1.3 |
3.4 0.6 |
금리(국고채 3년, %, 평균) |
4.6 |
4.9 |
4.7 |
4.7 |
환율(원/달러, 평균) |
1,013.4 |
1,107.5 |
1,031.3 |
1,144.5 |
주: 1) 실업률은 구직기간 4주 기준임. 2) 상품수출입은 국제수지기준. 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, 통계청. |
2. 잠재성장률
❑ 잠재성장률은 2009~2013년 중 연평균 3.7%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
◦ 글로벌 경제위기의 영향으로 2009년 잠재성장률은 3.5%로 2008년(3.9%)에 비해 0.4%p 하락하고 2010년부터 완만하게 상승하여 2012년과 2013년에는 3.8%가 될 전망임
◦ 향후 5년 중 노동과 총요소생산성의 잠재성장기여도는 각각 0.3%p와 1.8%p로 동일하지만, 자본의 잠재성장기여도는 이전 5년 기간에 비해 0.4%p 하락해 1.6%p가 될 것으로 추정됨
◦ 2009~2013년 중 실질성장률은 연평균 3.1%, 2009년을 제외하면 연평균 4.1%로 전망되어 동기간 잠재성장률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나 GDP갭을 보면 2008년 0.3%에서 2009년 ‒4.2%, 2010년 ‒3.9%, 2011년 ‒3.7%, 2012년 ‒3.3%, 2013년 ‒2.7% 등으로 나타나 2013년에도 실질GDP가 잠재GDP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됨
◦ 실질GDP가 잠재GDP 수준으로 외환위기 때와 같이 빠르게 회복하기 위해서는 2010년과 2011년 연평균 5.7% 성장해야 하며, 2013년까지 잠재GDP수준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연평균 4.7%의 성장을 기록해야 할 것으로 추정됨
◦ 위와 같은 잠재성장률 전망치와 정부가「2009~2013년 국가재정운용계획」에서 전제한 잠재성장률 전망치인 2010년 4%내외, 2011~2013년 5%내외(2010~2013년 연평균 4.7% 내외)와는 상당한 차이(1%내외)가 존재함
(단위: 전년대비, 연평균 %) |
|||||
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실질성장률 |
-1.0 |
3.8 |
3.9 |
4.2 |
4.5 |
잠재성장률 |
3.5 |
3.6 |
3.7 |
3.8 |
3.8 |
자료: 국회예산정책처.
[투입요소별 잠재성장 기여도 추이 및 전망]
(단위: 연평균 %, %p) |
||||
기간 |
잠재성장률 |
요인별 잠재성장 기여도 |
||
노동 |
자본 |
총요소생산성 |
||
1981~1990 |
7.8 |
1.3 |
4.8 |
1.6 |
1991~2000 |
6.0 |
0.8 |
3.4 |
1.8 |
2001~2008 |
4.2 |
0.3 |
2.2 |
1.8 |
2004~2008 |
4.1 |
0.3 |
2.0 |
1.8 |
2009~2013 |
3.7 |
0.3 |
1.6 |
1.8 |
[실질 및 잠재GDP 추이 및 전망]
주: GDP갭은 실질GDP의 잠재GDP 수준으로부터의 퍼센티지 갭으로 계산됨.
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.
(단위: 전년대비, %) |
|||||
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NABO 전망치 |
3.5 |
3.6 |
3.7 |
3.8 |
3.8 |
정부 전망치 |
- |
4% 내외 |
5% 내외 |
5% 내외 |
5% 내외 |
자료: 정부, “2009~2013년 국가재정운영계획”. |
3. 부문별 전망
3-1. 민간소비
❑ 민간소비는 2010~2013년 중 연평균 증가율이 2.9%로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4~2007년의 연평균(3.7%)보다 0.8%p 감소할 전망
◦ 연도별로 보면 2009년 –1.5%, 2010년과 2011년 2.6%, 2012년과 2013년에는 각각 3.0%, 3.2%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
◦ 민간소비 부진의 중요한 요인은 첫째는 낮은 실질국내총생산(GDP) 성장률과 함께 전망 기간(2010~2013년) 중 연평균 취업자 증가율이 0.9%로 2004~2007년(연평균 1.4%)에 크게 미치지 못해 고용부진이 심화될 것으로 보기 때문임
◦ 둘째는 소비자물가가 2010~2013년 중 연평균 2.6%로 비교적 안정된다고 할지라도 명목임금상승률은 연평균 5% 내외를 기록해 실질임금상승률은 2.4% 정도로 지난 4년(2004~2007년) 중 연평균 실질임금상승률 3.5%보다 1.1%p 정도 낮아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임
◦ 마지막으로 금리가 전망치(2010~2013년 연평균 4.9%;국고채 3년 만기 기준)보다 급격히 상승할 경우 가계부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가중되어 민간소비를 더욱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음
[민간소비 전망]
(단위: 전년대비, %) |
||||||||
연도별 전망 |
글로벌 경제위기 전후 추이 및 전망 |
||||||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위기전5년 (04~08) |
위기후5년 (09~13) |
위기전4년 (04~07) |
위기후4년 (10~13) |
–1.5 |
2.6 |
2.6 |
3.0 |
3.2 |
3.1 |
2.0 |
3.7 |
2.9 |
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. |
[민간소비 전망]
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.
3-2. 건설투자
❑ 건설투자증가율은 2010∼2013년 중 연평균 2.4% 증가할 전망임
◦ 4대강살리기사업을 비롯한 녹색뉴딜사업 및 30대선도프로젝트 등 대규모 SOC투자는 2010~2011년에 큰 폭 증가할 전망임
◦ 주택 관련 규제완화 및 저금리 힘입어 재건축⋅재개발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이며, 신도시건설에 따른 주택투자는 2011∼2012년에 가장 크게 반영될 것으로 예상됨
◦ 연도별로는 2010년 2.7%, 2011년 2.9%, 2012년 2.0%, 2013년 1.8%를 나타낼 전망임
[건설투자 전망]
❑ 정부의 건설투자 확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기적으로 건설투자가 경제성장을 주도하지는 않을 전망
◦ SOC투자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재정여건이 뒷받침되어야 하지만 중기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SOC분야에는 국비투입이 2010∼2013년 중 연평균 2.0% 증가하는 데 그침
◦ 또한 경상경제성장률도 정부기대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SOC투자재원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
◦ 다만 중기적으로 우리나라가 물류 등 서비스부문의 경쟁력 제고 노력을 지속하고 있어 사무실, 창고 등에 대한 잠재수요가 점증하고 있어 경제회복 및 금융시장 안정 시 건설투자의 버팀목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됨
3-3. 설비투자
❑ 설비투자는 2010~2013년 중 연평균 9.2% 증가해 위기 전 4년(2004~2008) 평균 6.7%에 비해 2.4%p 확대될 것으로 보임
◦ 2010년 설비투자는 경기회복에 따른 투자심리 회복, 저금리, 그리고 기저효과 등으로 9.8% 증가하겠으나, 2011년에는 정부의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적극적인 통화 및 재정정책의 효과가 사라지면서 7.5% 증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됨
◦ 2012년과 2013년에는 경제성장률이 4%를 상회하고, 민간소비 증가도 3%대로 확대되면서 투자수요가 늘어나고, 환율하락에 따른 자본재상대가격 하락과 금리안정에 힘입어 설비투자는 각각 9.0%, 10.5%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
[설비투자 전망]
연도별 전망 |
글로벌 경제위기 전후 추이 및 전망 |
||||||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위기전5년 (04~08) |
위기후5년 (09~13) |
위기전4년 (04~07) |
위기후4년 (10~13) |
–14.1 |
9.8 |
7.5 |
9.0 |
10.5 |
4.9 |
4.5 |
6.7 |
9.2 |
3-4. 수출·입
❑ 2010∼2013년 기간 중 상품수출 증가세는 완만히 둔화되어 연평균 12.5%(국제수지 기준)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
◦ 이는 2004∼2007년의 연평균 증가율 17.9%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으로 글로벌 금융위기로 급감했던 세계교역량이 완만한 속도로 회복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임
◦ 이외에도 원화강세 기조로 채산성 및 수출경쟁력 약화가 예상되기 때문임
◦ 경기회복세는 선진국보다 개도국에서 빨리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향후 수출증가는 개도국 중심이 될 전망
◦ 주력수출품목인 자동차, 반도체는 세계경기회복에 따른 시장확대효과로 수출 증가세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선박수출도 급격히 감소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됨
◦ 연도별로 수출 증가율을 전망해보면 금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14.7% 감소하고 세계경제회복에 따른 수입수요 증가로 2010년 14.3% 증가한 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각각 10.6%, 12.4% 12.8% 증가할 전망
◦ 통관기준 수출은 2009년 15.8% 감소하고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각각 13.2%, 10.6%, 12.3%, 12.7% 증가 전망
❑ 2010∼2013년 기간 중 상품수입 증가율은 연평균 14.6%(국제수지 기준)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2004∼2007년의 연평균 증가율 19.0%에 비해 둔화될 것임
◦ 세계경제가 회복세에 진입하면 국제원유 및 비원유 원자재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수입증가율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
◦ 수입증가율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9년은 수출 감소, 내수부진 및 국
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25.2% 감소하고 수출과 내수가 회복세를 보이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각각 19.8%, 12.1%, 12.7%, 14.0% 증가할 것으로 전망
◦ 통관기준 수입은 2009년 25.4% 감소하고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각각 19.8%, 12.1%, 12.6%, 14.0% 증가 전망
[수출․입(국제수지 기준) 전망]
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.
3-5. 국제수지 전망
❑ 경상수지는 2010∼2013년 기간 중 연평균 114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여 2004∼2007년의 연평균 136억 달러 흑자보다 흑자 폭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
◦ 2010∼2013년까지 상품수지는 2004∼2007년의 연평균 316억 달러 흑자
에서 연평균 406억 달러로 흑자 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
◦ 서비스수지를 비롯한 기타수지(서비스, 소득, 이전수지)는 2009∼2013년 기간 중 연평균 292억 달러의 적자를 나타낼 전망임
서비스수지는 2009년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적자폭이 크게 축소될 것으로 보이나 2010년 이후 경기회복과 함께 여행수지 및 사업서비스수지가 악화되면서 적자폭이 다시 증가할 전망
◦ 연도별 경상수지는 2009년 340억 달러 흑자를 기록한 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각각 147억 달러 흑자, 108억 달러 흑자, 112억 달러 흑자, 91억 달러 흑자로 흑자 폭은 점차 축소 전망
[경상수지 전망]
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.
4. 고용
❑ 취업자는 2010~2013년 중 연평균 0.9% 증가해 2004~2007년 중 연평균 증가율 1.4%(32.4만명)보다 0.5%p(11만 여명) 감소하고, 동기간 실업률은 3.4%로 0.1%p 감소할 전망
◦ 2010년에는 경기회복에 따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점차 증가하고 제조업의 취업자 감소폭도 줄어 실업률은 3.5%, 취업자는 14.5만(0.7%)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
◦ 2011년에도 고용사정은 크게 호전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, 이는 민간소비 증가율이 2010년에 이어 2.6%로 부진할 것으로 보이는 데다 설비투자의 증가세도 2010년 9.8%에서 7.5%로 둔화되면서 서비스업의 고용창출 여력이 크게 나이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임
◦ 2012년과 2013년에는 실질GDP 성장률이 4%대로 회복되면서 고용부진이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이나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부진이 크게 개선되지 않으면서 고용 확대 폭이 크지 않을 전망임
(단위: %, 천명) |
|||||||||
연도별 전망 |
글로벌 경제위기 전후 추이 및 전망 |
||||||||
|
2009 |
2010 |
2011 |
2012 |
2013 |
위기전5년 (04~08) |
위기후5년 (09~13) |
위기전4년 (04~07) |
위기후4년 (10~13) |
실업률 |
3.7 |
3.5 |
3.3 |
3.4 |
3.3 |
3.5 |
3.4 |
3.5 |
3.4 |
취업자 |
–0.6 (–135) |
0.7 (145) |
0.8 (170) |
0.9 (200) |
1.0 (220) |
1.3 (288) |
0.6 (120) |
1.4 (324) |
0.9 (183) |
주: ( )안의 수치는 전년대비 취업자 증감. 자료: 국회예산정책처. |
5. 물가 및 경상GDP
❑ 소비자물가는 2010∼2013년 기간 중 연평균 2.6% 상승하여 이전 2004∼2007년 2.8%에 비해 낮아질 전망임
◦ 금융위기의 충격으로 2009∼2013년 중에 GDP갭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낮아져 물가압력도 하락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임
GDP갭은 실질GDP에서 잠재GDP를 차감(%갭)한 것으로 GDP갭이 낮으면 물가압력이 낮은 것으로 해석
◦ 반면 연도별 보면 2010~2011년 2.5%, 2012년 2.7%, 2013년 2.8%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
◦ 금번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통화당국의 적극적 경기부양책(저금리 및 신용확대정책)에 힘입어 향후 경기가 안정적으로 회복된다면 화폐유통속도의 상승으로 물가압력이 상승하게 될 것이기 때문임
[소비자물가와 GDP디플레이터의 비교]
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.
❑ GDP디플레이터는 2010∼2013년 기간 중 연평균 2.2% 상승하여 이전
2004∼2007년 1.4%에 비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
◦ GDP디플레이터 상승률이 높아지는 것은 2005∼2006년 중 이례적으로 유가 등 원자재가격이 급등하여 교역조건이 크게 악화된 것이 2004∼2007년 GDP디플레이터 상승률을 낮추는 결과로 나타났기 때문임
◦ 한편 2010∼2013년 기간 중에는 교역조건이 완만히 악화될 것으로 보여 GDP디플레이터상승률은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다소 하회하게 될 것임
❑ 2010∼2013년 중 경상GDP성장률은 연평균 6.5%로 2004∼2007년 중 6.2%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
◦ 이는 교역조건 악화세가 완만하여 상대적으로 순수출디플레이터 상승률이 높기 때문임
◦ 연도별로는 2010∼2011년 중에는 6%대 초반, 2012∼2013년 중에는 6% 중후반으로 점진적으로 상승할 전망
[경상성장률 전망]
자료: 국회예산정책처, 한국은행.